헤어119미용방송국 헤어119 쇼핑몰 핸드에스오에스 로그인 회원가입 장바구니 마이쇼핑 고객센터

CS CENTER

1577-9843(주문관련)

로그인이 안될때 연락부탁드립니다.

미용동영상 미용포토 미용상담 구인구직 벼룩시장 미용자료 미용뉴스

경영상담

현재위치 : HOME > 미용상담 > 경영상담

시술상담
자유토론
경영상담
미용일기
세미나안내
자료실
제품상담
대형마트입점
가입인사


인쇄  댓글로가기  글씨크기  

스텝수에 따른 살롱 운영방법

By  노땅™      posted  2011-10-07 17:22:42      views  2884

 

   
 
스텝수에 상응하는 살롱 운영 방법 스텝도 고객도 매력이 있는 미용실에 모인다
그 매력 만들기에 중요한 것은 교육이다.

이제, 스텝의 수 별로 조직의 운영방법을 설명해 보고자 한다

. 기업(미용실)의 매력을지탱하는 4가지 힘 산업 심리학자 허즈버그에 의하면 인간이 일을 선택할 경우 다음과 같은 4가지 선택기준에 의하여 기업의 매력 유무를 파악한다고 한다.

1) 일의 매력 : 미용이라고 하는일, 그것이 가지고 있는 매력이 있다. 이것에 관해서는 많은 젊은이가 미용인을 꿈꾸고 있을 정도이므로, 많은 매력이 있는 것이 틀림없다.

2) 노동조건의 매력 : 노동조건이라 하면 직장의 환경, 임금, 노동시간, 휴가, 복지후생 등을 모두 고려한 조건을 말한다.

최근 취직하는 젊은 세대 중에는 기업을 선택하는 기준으로 휴일의 유무를 먼저 생각하고 휴일이 많은 미용실을 선호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급여의 많음보다 휴가의 많음을 우선으로 하는 것이다.

이 일은 근로시간은 많고 휴일이 적은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기에, 젊은이들이 이러한 패턴을 원하지 않는다. 때문에 미용업계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 중의 하나이다.

3) 직장의 매력 : '일하는 것이 즐겁다' 고 하는 직장의 매력이 중요하다 .따라서 선배나 후배 동료들과의 인간관계가 중요해 진다.

특히 경영자와의 관계가 나쁜경우 대부분 스텝은 일을 그만두게 된다.

4) 자기실현의 욕구 : 이것은 인간 최고의 욕구로 '자신이 하고 싶은것을 끝까지 해낸다'는 것은 가능할 것 같지만 무척이나 어렵다.

미용이라는 직업은 자기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직업이다. 급여가 낮고, 휴일이 적고, 노동시간이 길어도, 자신의 꿈을 향한 강한 의지가 있다면 도전해 볼 필요가 있다.

다음 3가지 사례를 통해 자신의 미용실이 어느 형에 해당 하는지 점검해 보자.

사례1> 경영자의 미용에 대한 정열이 스텝을 이끈다.

경영자는 28세의 남성으로 남성 디자이너 1인과 여성 스텝 3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픈한지 1년이 되었다.

이전에 금무하던 미용실에서 점장이었던 경영자는 유럽에서의 연수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기술적으로 펴가가 높고 , 경영도 순조롭다.

그의 꿈은 언제나 스텝에게 열심히 말해 오고 있다. 젊은 경영자의 꿈에 자극을 받아 스텝들은 일에 대한 의욕이 높다.

2년 후에는 지점을 내고, 남성 디자이너에게 미용실을 맡길 것을 선언하고 있다. 그가 신경을 쓰지않으면 안되는것이 너무도 많지만, 그의 의욕은 매우 높다.

사례2> 경영자의 1인 경영체제로 스텝들이 그만두고 있는 실정이다.

경영자는 38세의 여성이며 디자이너 2명 스텝3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픈한 지 10년이 되엇다.

최초의 5년 동안은 매상이 순조롭게 증가했고, 스텝들도 5년 전부터 항상 5~6 명은 고용되었다.

그러나 스텝들이 정착되지 않는 상황이고 항상 일정 수준 이상의 기술자가 양성되어지지 않는 상태이다.

게다가 경영자가 하나하나 지시하고, 스텝은 30세의 남성으로, 최근 독립하여 지금의 미용실 가까운 곳에 개점을 하였다.

그의 미용실 스텝들은 과거에 이 미용실을 그만 두었던 스텝들이다.

사례3> 점장을 키워서, 가위를 놓는 것이 가능하게 된 경영자. 경영자는 40세의 남성으로 전체 스텝은 19명이며 현제 점포수는 3개이다.

처음 독립했을때 부터 다점포 개점을 염두에 두고 경영을 해왔다.

독립은 5년전 , 3년간은 1점포 뿐이었지만 그후 1년에 1점포씩, 지금은 4번째 오픈할 예정이다.

독립하던 당시의 스텝이 각자 점장으로서 활약하고 있다.

1개의 미용실의 스텝수를 5명 이내로 결정해 두고, 소형의 미용실을 빠르게 전개해 가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경영자 자신은 현재의 3명의 점장들에게 기술부문을 모두 맡겨서, 자신은 경영에 전념하고 있다.

점장들은 항상 회의를 열어 각 점포의 기술 수준을 체크하고 인간관계에 있어서 문제점은 없나를 확인하는 등의 정보교환을 빠뜨리지 않는다.

빠르게 점포수를 확장하는데에는 무엇보다도 스텝의 채용계획에 있었다.

경영자와 점장들과의 긴밀한 연계성은 적절한 시기에 스텝을 채용하게 했다.

이러한 경우 채용후의 기술 체크 등은 물론이고 임금도 커미션을 주는 급여체제를 체택했다. 특히 정기적인 직원 채용보다 적극적인 중도 채용방법을 취했다. --------------------------------------------------------------------------------

리더쉽의 무대를 틀리지 말라.

' 동기부여의 요인'은 일을 선택한 후 적극적인 부분으로 "나는 미용일을 일생의 직업으로 하고 싶다.","세계적으로 유명한 스타일리스트가 되고 싶다." 는 등 자신의 내부로부터 우러나오는 요인이다.

강렬한 동기부여이기는 하지만, 인간은 그것만으로는 계속 이어가질 못한다.

급여가 낮고, 휴일이 적고, 인간관계도 어려운 이러한 환경은 좋아하는 일도 결국 흥미를 잃고 꿈에 대한 열정도 식어버리게 만든다.

다시 말해서 '위생요인'은 인간이 동기부여 요인에 정당하게 반응가능하는 것만의 조건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꿈만으로는 이루어 질 수 없는 것이다.

- --------------------------------------------------------

(스텝수에 따른 살롱 운영방법)

1) 1~3명 : 조직이나 역할분담 등은 고려하지 않아도 되고 단독 점포 경영과 복수 점포경영으로 나누었다.

경영자는 자신이 모든 것을 책임진다는 각오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대형점포를 모방하며 직원은 3명밖에 없는데, 점장과 실장이라고 부른다면 결국 엉터리가 되고 만다 .

지금은 작지만 미래에는 이렇게 된다라고 하는 강력한 '생각' 이나 '꿈' 을 공유하게 하는 것이다.

아침이나 밤에도 항상 커뮤니케이션을 가져야 하며 경영자가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가를 항상 알려야 한다.

'함께 열심히 일하자'라고 말하는 동료애 기분을 가지게 하는것이 리더십의 포인트이다. 교육방법은 경영자와 스텝이 1:1 방식으로 기술이나 일을 전수해야 한다.

2) 4~7명 : 변함없이 경영자가 현장에서 일하는 차이는 없지만, 무저건 자신이 결정하는 단계는 졸업해야만 한다.

현장의 많은 업무를 눕업하며 책임자를 선정하고, 관리의 책임을 맡기는 것을 의식적으로 시행한다.

장래 다점포 전개를 고려한다면, 그것이 점장 후보를 선별하는 것으로 연결되고, 관리의 일을 배우게 하는 것으로부터 미래의 점장을 육성하는 것이 된다.

경영자가 모두 하나하나 가르치는 교육에는 무리가 따른다.

미리 스케줄을 결정하고 그것에 따라서 스터디 그룹을 결성하는 조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 단계에서 지점을 내는 미용실도 있을 것이다.

입지의 사정(시내와 시외)이나 내부적인 사정(점포의 넓이나 스텝의 구성)에서 부터 단독으로 나갈까, 복수로 나갈까를 판단한다.

이규모에서는 원래 단독으로 가는 것이 가장 좋지만 어쨌거나 케이스 바이 케이스이다.

지점을 가진 경우 포인트는 지점의 스텝 실력이 각각 틀리지 않게 하는 것이다.

경영자가 있는 점포는 수준이 높다라고 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서는 안된다.

정기적으로 합동 스터디 그룹을 한다든지 하여, 지점의 점장 권위를 명확하게 하고 , 그것을 스텝에게 주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8명이상 : 스텝의 수가 10명이 되엇다면 기본적으로 '조직적 경영'을 생각하지 않으면 않된다.

경영자는 기술자보다 '경영자' 의 역할을 중시하는 것이 요구되어진다. 가위를 놓을 필요는 없지만 '가위와 주판'의 두 개의 칼을 잘 휘두르지 않으면 안된다.

업무의 대부분을 책임자에게 위임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점장직도 스텝에게 맡겨서, 자신은 전체를 경영하는 시야를 가질 수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

호칭도 "원장"에서 "사장으로 바꾸는 것이 좋다.

언제까지라도 자신이 기술자의 우두머리라는 고정관념을 깨뜨리기 위해서도 '자신은이미 원장이 아니다'라고 하는 것을 의식시키는 호칭의 변화가 필요하다.

저점을 여러군데 가진 경우 경영자가 어느 정도 '본점으로 부터 떨어져 있는가'가 포인트이다.

가위를 놓는다면 자신과 각 점포와의 같은 거리가 되지만 기술업을 하는 경영자인 경우 자신이 있는 미용실이 중심이 된다

. 조직을 운영하는 경우, 전체를 고르게 보는 입장을 얻지 않는다면 효과적인 운영은 매우 어렵다.

그 의미로서, 기술업을 하는 경영자는 이러한 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어려운 상황이 되어 버리고 만다.




 
 
< Prew  미용실 고객 응대법 디자이너의 5가지 기능  Next >
 
0
추천
0
반대


인쇄  위로  글씨크기  

목록보기 글쓰기 삭제하기 수정하기



댓글 쓰기
등록






서비스이용약관  |   개인정보보호취급방침  |   원격지원  |  

사이트명 : 헤어119 | 대표자 : 진선익 | E-mail : hair119@empas.com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16-화성동부-0038 호

사업자등록번호 : 606-37-87984 | 제품구입상담 : 1577-9843 / 031-225-7263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진선익

소재지 : 경기도 화성시 세자로 441번길 5 (구주소: 화성시 안녕동180-127)

물류반품주소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금곡동 CJ대한통운 수원금호대리점

계좌번호 : 농협은행 143-02-469025 / 국민은행 285101-04-024480 (예금주:헤어119 진선익)

COPYRIGHT (C) 2006 헤어119 ALL RIGHT RESERVED. + (116.124.133.147)